Operators 3

C# - 대입 연산자(assignment operator)

대입 연산자(assignment operator) 사용해야하는 이유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x = x + 1;과 같이 변수의 값을 바꾸어 다시 그 변수에 할당하는 경우가 많다.즉, 같은 변수 이름을 두 번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resultOfCalculation = resultOfCalculation * 2;위와 같은 문장이 있다면 resultOfCalculation라는 긴 변수를 두 번 쓰는 것이 불편할 것이다.대입연산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압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resultOfCalculation *= 2;압축하여 사용할 때 주의할 점.x += y * 3;이라는 문장은 (x + y) * 3이 아니다. x = x + (y * 3)이라는 뜻이다.이와 같은 압축 표현은 모든 이항연산자에 적용되며, ..

C#/문법 정리 2024.07.04

C# - 조건 연산자(conditional operator)

조건연산자(conditional operator)는 C#의 연산자 중 유일하게 3개 항을 갖는 연산자이다.condition이 true이며 first_expression이 적용, false이면 second_expression이 적용된다.condition ? first_expression : second_expression;조건 연산자를 사용하면 if-else 구성이 필요한 계산을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if (input >= 0) result = "양수입니다.";else result = "음수입니다.";위와 같이 if-else문은 조건연산자로 사용하면 한줄로 요약할 수 있다.result = (input > 0) ? "양수입니다." : "음수입니다.";나이를 영어로 얘기할 때에 예시이다.한국..

C#/문법 정리 2024.07.03

C# - 비트 단위 연산자(bitwise operators)

비트연산자 6가지 종류 (C,C++언어와 같다.)연산자의미~Bitwise Complement&Bitwise AND|Bitwise OR^Bitwise Exclusive OR(XOR)Bitwise Left shift>>Bitwise Right shift정수형 변수(int, long, 등)와 bool형 변수에 대해 비트 수준에서 연산한다.예를 들어, 정수 14는 2진수로 표현한다면 1110, 정수 11은 2진수로 표현한다면 1011이다.즉, 정수는 32비트이지만, 8비트만을 표현하면 정수 14는 0000 1110, 정수 11은 0000 1011이다.6가지 비트 연산 표에 대한 설명비트 연산명설명비트 AND(&) 14 : 0000 1110 11 : 0000 1011----------------- & : ..

C#/문법 정리 2024.07.02